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설명적 다원주의가 미친 영향

by GG컬쳐 2023. 7. 28.

다원적 설명 틀에 대한 수용

-과학철학 논의에 따르면 과학의 기본 목적은 현상에 대한 과학적 설명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과학적 설명이 무엇이어야 하는 것에 대하여는 아직 과학철학자들 간에 의견 통일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법칙적 설명이론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과학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서 더 나아가서 현상에 대한 상위 수준의 모든 이론적 설명을 더 환원적인 미시적 수준의 설명으로 환원시킬 수 있다는 환원주의적 생각이 대부분의 과학계에 탄탄하게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환원주의적 관점이 강하게 나타난 영역의 하나가 마음의 작동 원리를 뇌의 신경적 활동의 수준으로 환원시켜서 하나의 이론으로 다 설명할 수 있다는 신경적 환원주의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인지과학에서 뇌의 신경과학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게 하는 든든한 배경이 되었다.

그러나 과연 심적 현상과 같은 복잡한 현상을 신경 수준으로 모두 환원하여 설명할 수 있을까 하는 반문이 생긴다. 이러한 반문을 가지고 환원주의(reductionism)에 대하여 대립적인 과학철학 틀로서 제시된 것이 설명적 다원주의(Explanatory Pluralism)라고 할 수 있다.

 

설명적 다원주의의 관점

 

설명적 다원주의 관점에 의하면, 현상이 충분히 복잡하면(인간의 마음과 같이 충분히 복잡한 시스템이라면) 모든 수준의 현상에 단일한 환원주의적 이론 틀을 적용하여 통섭적으로 설명해 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현상의 복잡성에 따라서 분석과 설명의 수준과 목표가 단일한 틀이 아닌 여러 수준의 틀이 적용될 수 있다.

이 입장을 인지과학, 심리학에 적용하여 다시 설명한다면, 복잡한 심적(인지) 현상을 뇌기능에 대한 단일한 신경적 수준의 이론으로 환원하여 모두 설명할 수 있다는 신경과학적 설명 접근을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다른 수준에서 각각 더 적절한, 의미 있는 설명을 줄 수 있는 여러 설명 이론 틀이 있을 수, 적용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즉 심적 인지 현상의 하위 수준의 현상 일부는 신경과학적 탐구와 설명을 적용할 수 있을지 몰라도, 상위 수준의 고차 심적(인지) 현상의 작동 특성과 그 내용적 의미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에서는 신경적 수준의 설명이 아닌 고차 수준의 심리학적, 인지과학적 설명이 필요하다는 과학철학적 관점이다.

이러한 관점이 그저 일부 인지과학 이론가들의 지엽적인 입장 전개가 아님은, 이 설명적 다원주의가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계속 논의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이 주제와 관련된 심포지엄이 과학자들, 철학자들의 참여로 개최된 것으로도 미루어 알 수 있다.

환원주의의 입장을 견지하는 과학철학자들이 수정된 환원주의 입장을 제기하였지만 환원주의적 설명이 갖는 과학철학적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미시적 수준의 환원주의적 설명 작업이 거시적 수준에서의 상위 설명적 작업을 반드시 불필요하게 만드는 것은 아니다. 1940년대의 초기 모든 이론적 Craik(1943)이 이미 거론하였듯이 현상의 수준에 따라 다른 설명을 시도하는 것이 현상에 대한 보다 더 좋은 설명을 낳을 수 있다.

 

수정된 환원주의 모델

그것이 현재 과학철학, 이론심리학,인지과학의 기초 영역에서 연구하는 일단의 사람들이 추구하는 추세라고 할 수 있다. 거시적 수준에서의 설명은 미시적 환원주의적 설명을 넘어서 보다 좋은 설명을 제시하며 과학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값있는 휴리스틱스 역할(McCauley & Bechtel, 2001)을 할 수도 있다.

  1. 수정된 환원주의 모델도 하나의 단일 모델이 여러 층의 현상들을 설명할 수 있다는 생각 오류를 지니고 있다. 수준의 복잡성에 따라서 다원적 설명이론이 필요하고, 미시적 설명 틀과 거시적 설명 틀이 양립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보적으로 더 좋은, 더 충분한 설명을 줄 수 있는데도 이 양립 가능성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단점이 있다.
  2. 환원주의적 설명 입장은 주로 수준내(intra-level) 환원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수준 간(inter-level) 환원에 대하여는 논리적, 경험적 근거가 박약하다. 과학적 연구 사례들을 살펴본다면 수준 간의 맥락에서 제거적 환원이 적용된다는 근거가 없다. 경험적 연구의 사례들을 살펴보아도 New Wave 환원주의의 주장인 심리학이 신경과학으로 환원될 수 있다는 아무런 지지 증거도 찾기 힘들다(Eronen, 2008; 2쪽)
  3. 과격한 환원주의 입장의 경우에 상위수준의 행동적, 인지적 현상을 신경 생물 분자 수준으로 환원시켜서 설명할 수 있다.는 식의 논지를 전개하는데, 왜인지-분자 사이의 중간 수준들인 기능적 수준, 계산적 수준 등 등의 수준을 건너뛰어 설명할 수 있는지가 불분명하다.
  4. 설명적 다원주의(EP)는 극단의 환원주의나 극단의 반환원주의의 단점을 넘어서는 것이며, 수준 간의 연결(즉 다원적 수준에서 접근하여서 하는 여러 수준의 설명)은 과학의 발전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5. 미시적 환원 작업이 끝나서 미시적 수준에서 설명이 성공적으로 완성되었다고 하더라도 (그리고 그러한 미시적 수준의
    설명이 더 좋을 수 있더라도), 거시적 수준에서의 개념 주도적, 하향적(top-down) 설명 작업은 전자의 작업을 더 정교화하는 또는 보완적 작업일 수 있으며, 과학발전에 필수적인 작업이다.

 

인지과학의 미래 대한 종합

미래의 인지과학의 전개에서는 과거의 데카르트식의 존재론을 벗어나고, 몸의 감각 운동적 역할이 강조되며, 뇌와 몸과 환경의 3자가 괴리되지 않은 하나의 단위를 이루는 총체로서 작용하며, 이러한 상황에서의 행위의 이어짐의 역동적 체계가 분석의 초점이 되어야 하고, 그저 뇌의 신경적 부위와 과정을 탐색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인간의 마음이 환경과 함께 지어내는 각종 내러티브적 역동의 의미 중심으로 마음을 접근, 이해하며, 체화된 인지와 내러티브적 인지의 틀 연결이 제공하는 소프트, 하드 테크놀로지적 가능성의 확산이 더욱 탐구되며 인지과학기술의 응용적 지평을 넓혀가야 하리라 본다.

이러한 전개는 자연히 과학철학적으로는 마음의 복잡성 수준에 따라 여러 다른 설명적 접근을 허용하는 설명적 다원주의의 입장을 취해야 하리라 본다. 이러한 연관에서 인지과학은 마음의 본질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수렴적, 융합적 학문으로 추구될 수밖에 없으며, 인문학, 사회과학, 공학, 자연과학(물리학, 수학, 신경과학 등)의 수렴적, 웅합적 연결 마당으로서의 징검다리적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